본문 바로가기

좋은책읽기/밑줄긋기

김연수 『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』

728x90
728x90

1

 

"이게 뭔지 알아? 씹으면 첫사랑의 쓰라림을 느낄 수 있다는 라일락꽃이야! 어디 한번 맛볼 테야?"

그러면 정민은

"잘못했어. 내가 이 나무에 매달린 꽃들 다 씹어먹으면 용서해줄 거야?" 라고 말하며

그 동안 자신에게 생긴 일이며 만난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 따위를 천천히 내게 들려주곤 했다.

 

 

2

 

혀가 꼬인 채 정민은 방 안에서 돌고래를 볼 수 있다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,

역시 방 안에서 오로라를 볼 수 있다는 알래스카의 페어뱅크스 등을

죽기 전에 반드시 가봐야 할 여행지라고 꼽더니,

그렇지만 그중에서도 제일 가보고 싶은 곳은 방 안이든 방 밖이든 고산증에 걸리면

그 동안 자길 좋아했던 남자들이 모두 한 자리에 나타나서 말을 거는 환각을 경험할 수 있다는

히말라야라고 했다.

 

 

3

 

무슨 일인가 일어나고, 그  순간 우리가 예전의 자신으로 되돌아갈 수 없게 된다는 점에서 인생은 신비롭다.

그런 탓에 우리는 살아가면서 몇 번이나 다른 삶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.

무주에서 정민과 나란히 누워 바라본 밤하늘처럼 인생은 광활하고도 끝이 없기 때문이다.

끊임없이 다른 모습으로 바뀌어가는 무한한 삶.

그럼에도 우리의 삶은 일생, 즉 하나다.

우리의 삶이 하나의 이야기로 이어지지 못한다면 우리는 결국 미쳐버렸을 것이다.

그해 여름 헬무트 베르크에게 들은 얘기 중에 이런 게 있다.

누군가 인도의 시인이었던 카비르에게 물었다.

이름이 뭐냐? 카비르.

신분이 뭐냐? 카비르.

직업이 뭐냐? 카비르.

나는 이 세번의 카비르라는 대답이 너무나 감격스러웠다.

나 역시 몇 번을 스스로 물어도 나일 수밖에 없었다.

아무리 다른 모습으로 바뀌어간다고 해도 결국 나는 나였다.

그게 바로 내가 가진 기적이라고 생각했다.

 

728x90
728x90

'좋은책읽기 > 밑줄긋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위화 『허삼관 매혈기』  (0) 2015.01.09
모옌 『개구리』  (0) 2014.11.25
김영하 『너의 목소리가 들려』  (0) 2014.11.18